본문 바로가기
일상 속 화학이야기

열화학

by 리브가. 2023. 1. 30.

 

열화학은 열과 화학반응의 관계를 연구하는 화학 분야입니다. 화학반응과 상전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전달과 에너지 변화 연구에 관한 것입니다. 그것은 화학의 기본 분기이며, 엔지니어링, 에너지, 환경 과학 등의 분야에서 많은 응용이 있습니다.

 

열과 에너지 

열과 에너지는 열화학에서 두 가지 밀접한 관련 개념입니다. 열은 온도차 때문에 한 물체에서 다른 물체로 전달되는 에너지 형식입니다. 에너지는 일을 하는 능력으로 열에너지, 기계에너지, 전기에너지, 화학에너지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습니다. 열화학에서는 내부 에너지와 엔탈피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내부 에너지는, E로 나타내어 시스템 내의 모든 입자의 운동 에너지와 포텐셜 에너지의 합계입니다. 엔탈피는 내부 에너지와 압력 체적 일을 포함하는 시스템의 총 에너지량 측정치입니다. 엔탈피는 시스템에 열로 전달되거나 시스템에서 전달되는 에너지의 측정 단위이기 때문에 매우 편리한 열역학적 양입니다.

 

열용량과 비열

열용량이란 물질의 온도를 일정량 올리는 열량을 말합니다. 열용량은  C로 나타내어, 그것에 의해서 생기는 온도 변화에 대한 물질에 첨가되는 열량의 비율입니다.

 

비열이란 단위 질량당 물질의 온도를 일정량 상승시키는 열량을 말핮니다. 그것은 단위 질량당 열용량 측정으로 c로 표시됩니다. 물질의 비열은 그 원자 또는 분자 구조에 의존하여 물질을 특정하거나 온도 변화를 일으키는 데 필요한 열량을 특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화학반응의 엔탈피의 변화

화학반응에서 엔탈피의 변화는 열화학의 중요한 연구 분야입니다. 엔탈피의 변화는 ΔH로 나타나 화학반응에 있어서의 생성물과 반응물의 엔탈피의 차이입니다. 엔탈피 변화 마커는 반응 방향과 그것이 방열인지 흡열인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방열반응은 열을 방출하는 반응이고, 흡열반응은 열을 흡수하는 반응입니다. 발열 반응에서는 생성물의 엔탈피가 반응물보다 낮아져 ΔH가 음이 됩니다. 흡열 반응에서 생성물은 반응물보다 엔탈피가 높고 양성 ΔH를 생성합니다.

 

형성의 열

생성열은 ΔHf로 표시되며 물질이 그 구성 원소에 의해 표준 상태로 생성되었을 때 발생하는 엔탈피 변화입니다. 물질의 표준 상태는 물질이 정상 조건 하에서 가장 안정된 상태로 정의되며, 보통 1 atm의 압력과 25℃의 온도로 정의됩니다.

생성열은 반응물과 생성물의 생성열 엔탈피 변화를 계산하는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반응 가능성을 예측하고 화학반응 에너지학을 이해하는 유용한 도구입니다. 

 

용액 엔탈피

ΔH 용액으로 표현되는 용액 엔탈피는 물질이 용매에 용해되었을 때 발생하는 엔탈피의 변화입니다. 용액의 엔탈피는 용질과 용매의 성질 및 용질과 용매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되는 엔탈피의 변화에 따라 흡열 또는 방열할 수 있습니다. 

용액 엔탈피는 물질을 용해하는데 필요한 에너지와 용액 형성에 대한 에너지학적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열화학의 중요한 개념입니다. 이러한 정보는 물질의 용해도를 예측하고 분리 프로세스를 설계하며 생물계의 열역학을 이해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연소 엔탈피

연소 엔탈피는 ΔHcomb 표현되며 물질이 과잉 산소 중 연소했을 때 발생하는 엔탈피의 변화입니다. 연소 엔탈피는 연료 가열값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물질 연소 시 방출 에너지 측정값입니다.

연료 가열값은 단위 질량당 연료 연소 시 방출되는 에너지입니다. 이는 연료의 중요한 특성으로 난방 시스템 설계, 연비 결정, 온실가스 배출량 계산 등 많은 용도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열화학은 열과 화학 반응의 관계를 연구하는 화학의 기본 분기

화학반응과 상전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전달과 에너지 변화 연구에 관한 것입니다. 열과 에너지, 열용량과 비열, 화학반응 엔탈피 변화, 생성열, 용액 엔탈피와 연소 엔탈피 등의 개념은 열전학의 중요한 연구 분야입니다. 이 분야는 공학, 에너지 환경과학 등이 분야에서 널리 응용되고 있으며, 그 연구는 화학 시스템의 에너지학에 귀중한 견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화학반응의 열역학을 이해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과정을 설계하고, 반응의 실행 가능성을 예측하며 주변 세계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습니다. 

 

 

 

'일상 속 화학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형  (0) 2023.01.31
동역학 및 반응 속도  (0) 2023.01.30
용액과 농도  (0) 2023.01.28
산과 염기  (0) 2023.01.27
화학적 결합  (0) 2023.01.24

댓글